미디어 산업 제대로 알기 2탄

미디어 씹어 먹기 2  브룩 글래드 스툴 글

미디어 산업은 정치와 기술의 산물입니다우리는 객관성을 갈망하지만, 마치 달콤한 칵테일을 마시는 점점 더 뉴스를 아무런 비판 없이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별다른 고민 없이 이해할 수 있도록 이런저런 사실과 견해만으로 적절히 버무려 놓은 전문가들의 의견에 길들여져 있는 것입니다. 미디어는 정부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독자와 광고주를 두려워합니다. 미디어는 여러분을 통제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여러분의 마음에 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오랜시간이 흐르고 읽기와 쓰기가 널리 보급되자 비범한 인물들이 문자를 이용해 역사를 기술합니다. 먼저 영국은 6년 동안 신문 발행을 금지시켰습니다. 인쇄되는 모든 기사는 사전 승인(허가)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했습니다. 만약 합당한 정보가 없다는 이유로 재판관들이 진실을 발행한 사람에게 거짓을 발행한 사람과 똑같이 가혹한 판결을 내린다면 잘못된 판례가 되지 않겠습니까? 변호사 앤드루 해밀턴은 의외로 앞세워 변론을 펼쳤습니다.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실시된 우수한 저널리즘을 위한 프로젝트(PEJ)’154개의 지역 TV에서 보도한 3만 건 이상의 뉴스를 분단위로 조사하여 평가했습니다. 조사결과, 잘 짜인 진지한 정책 보도는 자동차 사고 보도와 비슷한 시청률을 기록했습니다. 어쩌면 그보다 더 높을 수도 있겠습니다. 경쟁 주인 방송사들이 자극적인 내용을 산호 하는 시청자들을 흡수하여, 지역 뉴스 애호가의 비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TV뉴스 방송사들은 여전히 시시하고 폭력적인 소재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TV 제작자들이 실제로는 시창자들의 성향을 모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뉴스 소비자들의 싫어하는 것은 여론조사는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바로 뉴스 미디어입니다. 해마다 신뢰하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부장이나 사기 사건을 폭로하기 위해 법을 어긴 기자들이 배심 재판에서 번번히 패소하고 있습니다배심원들이 기자를 건실의 수호자나 권력을 견제하는 사람으로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 평결들은 항소심에서 많이 뒤집힙니다. 대부분의 재판관들은 저널리즘이 민주주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반 시민들도 그렇게 생각할까요? 별로 그런 것 같지 않습니다. 그들은 기자들을 편견에 사로잡혀 자기 잇속만 차리면서 거들먹거리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미디어 씹어 먹기 2  브룩 글래드스툴 글

나도 번역 한번해볼까? 2탄

이제 나도 번역 한번 해볼까? 김우열지음에서 참고 했습니다.

바르게 쓰기를 무시하면서 감성적이고 참신한 표현을 중시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번역가로서 바람직한 자세가 아니라고 합니다. 바르게 쓸 수 있는 사람이 파격을 시도하는 것과 그렇지 못한 사람이 파격을 옹호하는 것은 다른이야기 입니다.

이는 훌륭한 가수가 자신의 소리와 표현 방식을 다른 사람의 노래를 새로 부르는 것과 아직 가창력도 검증되지 않은 삶이 음정 박자를 무시하고 제멋대로 부르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우리말 공부에 유용한 도서 목록

-[우리글 갈고 닦기](이수열 저 한겨례 신문사)

-[국어 실력이 밥 먹여준다. 낱말편!](김경원,김철호 저 유토피아)

-[문장 강화] (이태준 저 창비)



우리말 공부에 유용한 사이트

-우리말 배움터 http://urimal.cs.pusan.ac.kr/urimal-new

-한글학회 누리집 http://www.hangeul.or.kr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

-배상복 기자의 우리말 산책 http://blog.joins.com/bsb2001

-김우열 블로그 http://blog.naver.com/ieol



외국어나 국어 외에 번역에 대비해 공부해야 하는 분야가 따로 있나요? 번역의 폭은 사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굉장히 넓다고 합니다. 번역에 있어 해당 외국어나 우리말 실력은 정말 기본에 불과하고, 언어학, 미학, 문학사,기초학, 문체론, 철학 등을 포괄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책'이 다양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인지도 모릅니다. 물론, 그렇다고 모든 분야에서 전문가 수준의 지식과 능력을 갖추기 전에는 번역가가 될 수 없다는 뜻은 아니라고 합니다.


깊이 들어가자면 끝이 없다는 뜻입니다. 앞서 언급한 대로 먼저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공부하라고 합니다. 철학이든, 역사든, 사회든, 지리든, 신학이든, 미학이든, 경제학이든, 나중에 자신이 번역하고 싶은 분야 책을 두루 읽어두시라고 합니다. 목표가 있는 상태에서 읽으면 무턱대로 읽는 것보다 훨씬 효과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흥미가 있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하는 편이 좋다고 합니다. 천천히 재미를 붙여가는 것입니다. 어느 정도 지식이 쌓이면 어지간히 어려운 책에서도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좀 더 효율적으로 찾아내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고 합니다. 다음에 3탄도 기대해 주세요 ~^^

1000일 블로그 쓰기

1000일간의 블로그 쓰기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여기에 보면 이중언어 전문가인 하버드 대학교 교육 대학원의 캐서린 스노 Catherine Sonw 교수는 아이들에게 밥상 머리에서의 대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밥상머리 대화'의 양이 아이들의 독서 능력을 좌우한다고 합니다. 특히 만 5세까지 밥상에서 대화를 나눈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에 비해 어휘 3,200만 개를 더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신문에서도 세상을 읽을 수 있는데요. 사실 요즘 신문들은 소식을 전하는 매체적인 요소보다 자극으로 승부하는 상품적 요소가 강하고 또 신문을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세상과 인간의 치부가 너무 많아서 아이에게 고스란히 보여주고 싶지 않았다고 합니다.



지식경영의 대가 노나카 이쿠지로의 말입니다.

1단계 : 지킴

기본을 지키고 모범적인 것을 흉내내는 단계

2단계 : 꺰

기본에서 벗어나 자기다움을 발견해가는 단계

3단계 : 분리

기본에서 떨어져 나와 새롭고 독자적인 것을 창조하는 단계




아이가 약간의 흥미를 보이는것을 잘 포착하라고 합니다. 그리고 약간의 서포트만 해주는 것인데요. 그러면 아이는 스스로 그 흥미를 자유롭게 무럭무럭 키워간다고 합니다. 아이가 하는 것을 주의 깊게 살피다보면 흥미를 보이는 게 무엇인지 알게 된다고 합니다. 이 때 언지시 거들어 주기만 하라고 합니다. 그러면 아이는 그 흥미를 잘 키워 나갈 것입니다. 머리부터 호들갑을 떨면 아이는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까 두려워 손을 놓아 버리게 될지도 모른다고 이 책의 작가는 지적합니다. 

글을 잘쓰는 아이로 키우고 싶으시다면 이 책을 추천합니다. 

◀ PREV 1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