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 저널리즘 한국 방송 저널리즘 속 '일탈'중에서

PD 저널리즘 한국방송 저널리즘 속 일탈 중에서

1장 방송 저널리즘의 긴장

1. 방송 저널리즘 논란

방송 저널리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부쩍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상파 방송에 대한 불신 과거 어느 때보다 더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 부처에서도 방송 저널리즘의 편파성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논란의 핵심은 언제나 방송 저널리즘의 공정성이었습니다. ‘공정하지 못하다, ‘편파적이다’ ‘어느 한편만을 들었다.’ ‘일방적이다등과 같이 방송 저널리즘에 가해졌던 일련의 비판들을 공정성으로 모아지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공정성이 저널리즘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게 될 것입니까? 방송, 특히 지상파 방송이 갖는 매체 한계 혹은 매체의 사회성 탓에 공정성에 대한 사회적 주장과 평가는 최근의 방송 저널리즘에 대한 공정성 비판 사례부터 이 문제를 차근차근 풀어가 봅니다.

PD 저널리즘에 대한 부정적 인식 그리고 그에 기반한 비판은 황우석 사태 때보다 극명하게 나타났습니다. <한국 일보>강병태 칼럼은 일부 기사들이 PD저널리즘에 대해 생각하는 바를 단적으로 보여 줍니다. “이른바 .PD저널리즘 또는 탐사 보도의 일탈과 해악은 철저하게 반성해야 합니다. 그 반성은 <PD수첩> 차원에 그쳐서는 안됩니다. 성공적 탐사 보도 실적은 보인 것과 함께 사회가 선정성에 이끌려 일탈을 묵과한 탓이 큽니다라고 적고 있습니다.

PD 저널리즘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추적60>이 민감한 사회 구조적 문제를 다루어 새로운 사회 의제를 만들었으며, SBS.가 창사와 함께 <그것이 알고 싶다>를 내보내 장르 구축 완선의 신호를 보냈던 점에 비추어 보면 이와 같은  PD 저널리즘에 대한 학계의 간과와 홀대는 조금은 놀라운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널리즘 journalism : 신문과 잡지를 통하여 대중에게 시사적인 정보와 의견을 제공하는 활동입니다.

'PD 저널리즘 한국방송 저널리즘 속 일탈 중에서'                                                                                                              

1000일 블로그 쓰기

1000일간의 블로그 쓰기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여기에 보면 이중언어 전문가인 하버드 대학교 교육 대학원의 캐서린 스노 Catherine Sonw 교수는 아이들에게 밥상 머리에서의 대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밥상머리 대화'의 양이 아이들의 독서 능력을 좌우한다고 합니다. 특히 만 5세까지 밥상에서 대화를 나눈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에 비해 어휘 3,200만 개를 더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신문에서도 세상을 읽을 수 있는데요. 사실 요즘 신문들은 소식을 전하는 매체적인 요소보다 자극으로 승부하는 상품적 요소가 강하고 또 신문을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세상과 인간의 치부가 너무 많아서 아이에게 고스란히 보여주고 싶지 않았다고 합니다.



지식경영의 대가 노나카 이쿠지로의 말입니다.

1단계 : 지킴

기본을 지키고 모범적인 것을 흉내내는 단계

2단계 : 꺰

기본에서 벗어나 자기다움을 발견해가는 단계

3단계 : 분리

기본에서 떨어져 나와 새롭고 독자적인 것을 창조하는 단계




아이가 약간의 흥미를 보이는것을 잘 포착하라고 합니다. 그리고 약간의 서포트만 해주는 것인데요. 그러면 아이는 스스로 그 흥미를 자유롭게 무럭무럭 키워간다고 합니다. 아이가 하는 것을 주의 깊게 살피다보면 흥미를 보이는 게 무엇인지 알게 된다고 합니다. 이 때 언지시 거들어 주기만 하라고 합니다. 그러면 아이는 그 흥미를 잘 키워 나갈 것입니다. 머리부터 호들갑을 떨면 아이는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까 두려워 손을 놓아 버리게 될지도 모른다고 이 책의 작가는 지적합니다. 

글을 잘쓰는 아이로 키우고 싶으시다면 이 책을 추천합니다. 

◀ PREV 1 NEXT ▶